반응형
표제에 해당하는 상세한 내용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문장부호가 있습니다.
바로 쌍점, 콜론이라고 부르는 ":"입니다.
1. 쌍점 사용 방법
보고서나 문서를 작성할 때 많이 사용하는 기호로 쌍점이 있습니다.
1) 일시 : 2023년 8월 11일 9시
2) 일시: 2023년 8월 11일 9시
1) 번 2) 번 중 어떤 게 맞을까요?
정답은 2) 번이 맞습니다.
1) 번이 보기 더 좋은 것 같지만 한글 맞춤법에 따르면 2) 번처럼 앞말에만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아래처럼 항목을 열거하는 경우도 사용합니다.
문방사우: 종이, 붓, 먹, 벼루
단어의 뜻을 설명하는 방법으로도 쓰입니다.
사랑: 어떤 사람이나 존재를 몹시 아끼고 귀중히 여기는 마음.
대화 내용을 말하는 사람을 표시할 때 쓰입니다.
영수: 안녕. 나는 영수야.
위와 같은 사용에서 쌍점 기호는 모두 앞말에만 붙여 쓰는 게 맞습니다.
2. 시간 또는 의존 명사 '대'가 쓰이는 자리에 쓸 때는 양 옆을 붙여 씁니다.
시와 분, 장과 절을 구분하는 콜론은 붙여 사용합니다.
오전 10:20 (O)
오전 10 : 20 (X)
오전 10: 20 (X)
'대'가 쓰이는 자리도 붙여 씁니다.
40 대 60(O)
40:60 (O)
40 : 60 (X)
청군 대 백군 (O)
청군:백군 (O)
청군 : 백군 (X)
콜론의 띄어쓰기와 다양한 사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쌍점을 잘못 띄어 쓴다고 누가 지적하지는 않겠지만 올바르게 정확한 띄어쓰기를 사용한다면 더욱 좋지 않을까요?
반응형
'글쓰기 > 띄어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 가지 / 여러가지 올바른 띄어쓰기 (0) | 2024.06.11 |
---|---|
처럼 띄어쓰기, '처럼'은 조사입니다. (0) | 2023.08.11 |
라고 / 라는 / 라면서 띄어쓰기 완벽 정리 (1) | 2023.08.11 |
하는게 vs 하는 게 띄어쓰기, 의존명사 게 띄어 쓰는 게 맞습니다. (0) | 2023.07.20 |
할 수밖에 띄어쓰기, 조사 밖에 앞말과 붙여 씁니다. (0) | 202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