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글쓰기38

앞말과 항상 붙여쓰는 "입니다" 띄어쓰기 "입니다"는 "이다"'에 어말어미 "-ㅂ니다"가 결합된 서술격조사의 활용형으로 앞말과 항상 붙여씁니다. 저는 000입니다. 이것은 연필입니다. 철수입니다. 선생님입니다. 책상이다. 친구이다. 내 것이다. "입니다" 또는 "이다" 띄어쓰기는 예외 없이 항상 앞말과 붙여 씁니다. 조사는 앞말과 붙여 씁니다. 서술격조사도 앞말과 붙여 씁니다.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제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2023. 7. 17.
여러가지 vs 여러 가지 띄어쓰기, "여러 가지" 띄는게 맞아요. 의존 명사 한글은 띄어쓰기가 헷갈리는 것도 많고 정말 어렵습니다. 블로그를 쓰다 보면 맨 마지막 맞춤법 체크를 합니다. "여러가지"로 작성된 글의 띄어쓰기가 틀렸다고 나와서 조금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여러 가지" 띄어 쓰는 게 맞습니다. "여러"는 관형사로 수효가 한둘이 아니고 많다는 뜻입니다. "가지"는 의존명사로 사물을 그 성질이나 특징에 따라 종류별로 낱낱이 헤아리는 말입니다. "여러 가지"는 자주쓰는 말로 합성어라는 생각이 들어 붙이는 게 맞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이처럼 관형사가 의존명사를 꾸며주는 형태라서 띄는게 맞아요. 여러 가지(O) 여러가지(X) "몇 가지" 할 때도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몇 가지(O) 몇가지(X) 가지라는 의존 명사는 자립성이 없어서 다른 말에 기대어 사용하는 명사입니다. .. 2023. 7. 17.
히읗 잘 쓰는 방법 맑은 고딕으로 글자 연습하자 드디어 자음 마지막 히읗 잘 쓰는 방법입니다. 맑은 고딕체로 글자를 연습하고 있습니다. 악필을 교정하고 이쁜 손글씨를 위해 제가 가장 좋아하는 글자체 맑은 고딕으로 연습하고 있습니다. 히읗은 세로획을 짧게 쓰고 가로획을 이응 너비보다 길게 끌어 씁니다. 그리고 너비가 높이보다 길게 타원형 모양의 이응을 써줍니다. 모음이 차지하는 공간을 생각해서 히읗의 공간을 확보하여 글자를 바르게 씁니다. 받침에 들어가는 히읗은 모두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2023년 5월 19일부터 오늘인 6월 18일까지 31일간 쉬지 않고 날마다 글자를 연습했습니다. 성경 잠언을 1장부터 31장까지 꾸준히 썼습니다. 1장에 비해 31장의 글씨가 더욱 바르고 맑은 고딕과 비슷해 보이시나요? 아직 한 자 한 자 쓸 때 시간이 걸리지만 꾸준.. 2023. 6. 18.
피읖을 맑은 고딕으로 어떻게 쓰는가, 따라쓰기 악필 교정 악필 교정을 위한 맑은 고딕 따라쓰기 프로젝트가 어느덧 피읖까지 왔습니다. 맑은 고딕 피읖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옆으로 누인 반듯한 사다리처럼 생겼습니다. 그런데 피읖이 모음과 붙으면 모양이 달라집니다. 상단 가로획과 두개의 세로획이 서로 붙지 않는 모습이 보이시나요? 맑은 고딕은 그냥 반듯이 쓰면 되는거 아니냐 생각할 텐데 막상 하나하나 분석해 보면 이처럼 특이한 부분이 보입니다. 글자연습하기 참 어려운 부분 같습니다. 반면에 받침으로 쓸때는 여백 없이 붙여 씁니다. 연습했습니다. 2023. 6. 17.
티읕 바른 순서, 악필 교정 티읕을 연습해서 악필 교정을 하고 있습니다. 맑은 고딕체를 연습합니다. 티읕은 마치 알파벳 E와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맨 아래 획을 살짝 올리는 모습이 보입니다.디귿과 비교해 보니 거의 유사합니다. 티읕은 디귿에 가운데 획을 하나 추가된 모양입니다. 오른쪽이 티읕을 쓰는 바른 순서입니다. 글씨 쓰기를 빠르고 잘 쓰려면 오른쪽처럼 디귿을 써서 자리를 확보하고 마지막에 가운데를 긋는 것도 좋은 방법 같습니다. 이론보다 연습이 우선입니다. 2023. 6. 11.
키읔 쓰는 순서 손글씨 잘 쓰는 방법 키읔 손글씨를 잘 쓰기 위해 맑은 고딕을 분석하고 연습합니다. 기억을 쓰고 하나의 가로획을 더 써주면 키읔입니다.키읔이 들어가는 글자를 써보았습니다.기억과 거의 유사하게 쓰고 가로획을 추가하는 형태입니다. 크게 3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1. 오른쪽에 모음이 오는 경우 키읔의 아래 획을 왼쪽으로 꺾어줍니다. "카 캬 커 켜"와 같은 글자들입니다. 2. 모음이 아래쪽에 오는 경우 키읔의 아래 획을 거의 반듯하게 내려 적습니다. "코 쿄 쿠 큐"와 같은 글자들입니다. 3. 마지막으로 키읔이 받침으로 들어갈 때는 더욱 직각으로 마무리합니다. "캌 컄 컼 켴 콬 쿜 쿸 큨"와 같은 글자들입니다. 오늘도 연습해야죠. 2023. 6. 10.
맑은 고딕 치읓 연습하기 글자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맑은 고딕체가 좋아서 계속 연습 중입니다. 오늘은 치읓을 써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쓰는 치읓의 꼭지는 가로획으로 많이 씁니다. 오른쪽 상단이 궁서체이고 하단이 나눔 고딕입니다.맑은 고딕에서는 꼭지를 세로획으로 씁니다. 시옷을 먼저 쓰고 가로획을 그은 것처럼 곧게 이어져 있는 모습입니다. 일단 쓰는 방법은 왼쪽 순서대로 정석으로 연습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익숙해지고 속도를 빠르게 써야 할 때는 오른쪽 방법처럼 쓰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치읓이 들어간 글자는 3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세로가 긴 치읓, 정사각형 치읓, 가로가 긴 치읓입니다. 받침에 위치하는 치읓은 예외 없이 가로가 길게 생겼습니다. 연습해 보겠습니다. 2023. 6. 9.
지읒 손글씨 연습, 악필 교정 오늘은 지읒을 연습했습니다. 맑은 고딕체를 연습해서 악필 교정 중입니다. 지읒은 가로획을 쓰고 중간에서 시옷을 써준다고 생각합니다. 반듯하게 가로를 긋고 중간에서 시옷을 대칭으로 가로획 너비만큼 펼칩니다. 모음과의 비율에 따라 자음의 크기를 적절하게 확보하는 게 바른 글쓰기의 핵심입니다. 정사각형 지읒, 가로가 긴 지읒, 세로가 긴 지읒 세 가지의 모양이 있습니다. 연습해 보았습니다. 2023. 6. 6.
이응 글씨 잘 쓰기 맑은 고딕으로 어떻게 쓸까 맑은 고딕체에서 이응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글씨를 잘 쓰기 위해 맑은 고딕을 분석하며 연습하고 있습니다. 이응이 쓰이는 글자를 적어보았습니다.정사각형에 딱 들어가는 이응을 예상했지만, 타원형에 가깝게 세로가 길거나 가로가 긴 이응의 모습입니다. 모음에 따라 이응의 크기가 결정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받침에 이응이 있는 경우는 가로가 길게 타원형으로 그려줍니다. 받침이 없는 이응의 경우 모음이 왼쪽에만 있으면 세로가 길게 타원형으로 그립니다. 나머지는 모음이 들어갈 공간에 따라 이응의 모양을 적절히 확보합니다. 연습해 보았습니다. 2023. 6. 5.
맑은 고딕, 시옷 / 쌍시옷 똑같이 따라 쓰기 맑은 고딕 시옷은 특이합니다. 위부터 3분의 1까지 충분히 내려주고 꺾습니다. 쓰는 순서는 위에서 시작해서 왼쪽으로 획을 긋고, 다시 위에서 시작해서 오른쪽으로 획을 긋습니다. 특이한 점은 2획이 1획의 중간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닌 정확히 대칭으로 써야 한다는 점입니다. 왼쪽은 궁서체의 시옷이고 오른쪽은 나눔 고딕의 시옷입니다. 보통 손글씨는 1획을 길게 긋고 2획을 1획의 중간에서 시작해서 짧게 긋죠.맑은 고딕의 손글씨를 습관을 이겨내며 마스터하려면 오랜 시간 연습해야 되겠습니다. 시옷이 들어가는 여러글자를 써보았습니다. 왼쪽, 오른쪽이 거의 대칭하도록 쓰는 모양입니다.반면 쌍시옷은 첫번째 시옷의 2획을 짧게 쓰고 두 번째 시옷의 1획이 이를 덮는 모양입니다. 쏘, 쓰, 쑤, 쓰같은 글자만 덮음 없이 .. 2023. 6. 4.
반응형